본문 바로가기

암호화폐

작업 증명(PoW)과 지분 증명(PoS) 블록체인

POW, POS

채굴 코인은 작업 증명 방식을 사용하여 블록을 검증하고 보상으로 코인을 얻는 방식이다. 대표적으로 비트코인이 있다. 지분증명 코인(PoS)은 보유한 코인의 양에 따라 네트워크에 영향력을 발휘하고 보상으로 이자를 받는 방식, 대표적으로 이더리움이 있다.

 

채굴코인(PoW)의 특징

1. 작업증명(Proof of Work)은 블록체인 기술에서 사용되는 채굴 알고리즘 중 하나로, 전용 채굴기가 특정 수학적 문제를 해결하는 작업을 통해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는 방식이다.

 

2. 즉, 블록 생성과정에서 문제를 푸는 작업 증명을 수행하여 보상을 받는다.

 

3. 가장 대표적인 채굴 코인은 비트코인이다. 그 외에는 이더리움 클래식(ETC), 비트코인 캐시(BCH), 비트코인 SV(BSV), 비트코인 골드(BTG) 등이 있다.

 

4. 비트코인을 제외한 나머지는 현재 주류에서 멀어진 상태로 별다른 기능이 없거나, 기능이 있더라도 뒷북으로 너무 늦게 도입해서 사용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

 

5. 채굴코인의 장점은 코인의 증권성 논란에서 자유롭다는 것이다. 단점은 느린 속도와 비싼 수수료이다.

 

6. 보안과 탈중앙화가 좋다는 의견도 있으나, 채굴 난이도가 올라가서 이제는 개인이 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

 

7. 그래서 규모가 큰 전문 채굴업체가 성능 좋은 채굴기를 이용하여 채굴을 하고 있다. 따라사 완전 탈중화가 아닌 집중화가 되어있는 실정이다.

 

지분증명코인(PoS)의 특징

1. PoS (Proof of Stake)는 채굴 대신 코인을 보유하는 것으로 블록체인의 보안을 유지하는 방식이다.

 

2. Node를 운영하는 사람은 새로운 블록을 만들 수 있는 권한을 가지며, 이를 위해 일정량의 코인을 스테이킹한다.

 

3. 코인만 가지고 있는 사람은 Node 운영자에게 코인수만큼의 권한을 위임하여 스테이킹을 할 수 있다.

 

4. 이를 통해 블록을 생성할 때 필요한 컴퓨팅 자원과 전기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5. PoS는 수학적 문제를 푸는 게 아니라 단순히 네트워크 구성만 하면 된다.

 

6. 단점으로는 초기에 많은 양의 코인을 보유한 소수의 인원이 많은 권한을 가지게 될 수 있어 중앙집중화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 있다.

 

7. 그리고 리플이 재판에서 패소한다면 이더리움을 제외한 나머지는 증권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다. 쉽게 생각하면 채굴코인은 증권이 아닌 상품, PoS 코인은 증권 이렇게 될 수도 있다.

 

PoS 레이어 1 코인

1. PoS 레이어 1 코인은 블록체인의 보안을 PoS 방식으로 유지하면서, 각자의 PoS 기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한 코인을 말한다.

 

2. 대표적인 PoS 레이어 1 코인으로는 이더리움(ETH), 에이다(ADA), 테조스(XTZ), 솔라나(SOL), 아발란체(AVAX) 등이 있다.

 

3. 현재 이더리움을 제외한 나머지 레이어 1 코인들은 사용자가 점점 줄어드는 추세다. 레이어 1 메타는 2021년에 최고조에 달했고 그 이후로 점점 식어가는 추세다. 현재는 이더리움 레이어 2에 사용자가 몰리고 있다.

 

4. 자체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운영하면서, 특정 투자사나 재단에 코인이 편중되어 있기 때문에 탈중화라 보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이더리움 레이어 2 코인

1. 이더리움 레이어 2는 이더리움 블록체인 위에 구축된 스마트 계약 플랫폼이다.

 

2. 이더리움은 높은 속도와 느린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PoW에서 PoS로 전환을 했으나, 여전히 느리고 비싸다.

 

3. 이더리움 레이어 2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수많은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다.

 

4. 이더리움 레이어 2에는 Optimistic Rollups, ZK Rollups, Plasma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이를 통해 더 안정적이고 빠른 거래를 할 수 있다.

 

5. 대표적인 코인은 폴리곤(MATIC), 아비트럼(ARB), 옵티미즘(OP), 루프링(LRC) 등이 있다.

 

 

레이어 2의 장점

1. 레이어 2 코인은 이더리움 블록체인보다 낮은 수수료를 제공하여 더 저렴하게 거래할 수 있다. 

 

2. 현재 이더리움 트랜잭션 가스비는 0.8$ 정도이다. 폴리곤의 가스비는 0.01$ 정도다.

 

3. 레이어 2 코인은 이더리움 블록체인보다 빠른 거래 처리 속도를 제공한다.

 

4. 이더리움 블록체인과 같은 스마트 계약 기능을 제공한다. 이는 레이어 2 코인이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5. 이더리움 레이어 2에서 발생하는 거래는 최종적으로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반영된다. 따라서 이더리움의 보안성을 공유받는다고 보면 된다.

 

 

레이어 2 단점

1. 레이어 2에서 일어나는 거래는 레이어 1에 비해 더 불투명하다.

 

2. 거래 내역이나 잔액 등이 이더리움 체인에 바로 기록되는 것이 아니라, 레이어 2 내부 처리 후 합산하여 최종결과만 기록하기 때문이다.

 

3. 레이어 2 코인은 아직 메인스트림 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유저와 거래량을 가지고 있다. 이는 유동성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

 

4. 가장 큰 단점은 개발 당시에 투자를 받아서 만든 것이기 때문에, 특정 회사에 많은 물량이 편중되게 된다.

 

5. 또는 2023년 현재처럼 경기침체와 고금리 정책으로 투자를 받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해당 코인의 재단이 운영비나 투자 비용 회수를 위해 거래소 상장과 동시 많은 물량을 매도할 수 있다.

 

 

결론

1. 비트코인, 이더리움 이외에는 투자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2. 그 외의 프로젝트는 Pump and Dump로 차익을 남기고 매도한 다음 사실상 버려진 코인이 된다.

 

3. PoS는 결국 이더를 제외한 레이어 1은 서서히 약화될 것이다. 결국 레이어 2만 남게 되고 그중에도 옥석 가리기가 진행될 것이다.

 

반응형